샘씨엔에스 주가 분석: DRAM 반도체 시대의 새로운 수혜주?

반도체 테스트 시장의 핵심, 샘씨엔에스는 어떤 기업인가?

샘씨엔에스는 2016년 설립되어 2021년 코스닥에 상장한 반도체 세라믹 STF 전문 제조기업입니다. 이 기업은 반도체 웨이퍼의 성능을 평가하는 프로브 카드(Probe Card)의 핵심 부품인 세라믹 STF(Space Transformer)를 설계·생산하고 있습니다.

프로브 카드는 반도체 제조 공정 중 전기적 테스트 단계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장비이며, 특히 DRAM·NAND 메모리 반도체의 검수 과정에 있어 매우 정밀한 접촉과 신호 전달이 요구됩니다. 세라믹 STF는 이러한 테스트 장비 내에서 신호 무결성과 열 내구성을 보장해주는 필수 부품으로, 고난도의 정밀 가공 기술과 소재 역량이 집약된 제품입니다.

샘씨엔에스는 삼성전기의 세라믹 사업부를 인수해 출범한 이래, 지속적인 기술 고도화와 글로벌 고객 확보를 통해 성장을 이어가고 있으며, 현재 국내외 주요 Probe Card 업체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샘씨엔에스(252990) 일봉 차트

글로벌 반도체 검사 수요 확대, 성장 기회를 잡는 샘씨엔에스

2024년 글로벌 Probe Card 시장은 약 24.4억 달러 규모로 추정되며, AI 반도체·선단 공정 확대에 따라 2028년까지 연평균 6.2%의 성장이 예상됩니다. 특히 DRAM과 HBM(고대역폭 메모리) 투자 확대는 테스트 수요를 동반하며, 이로 인해 세라믹 STF 수요도 동반 성장할 가능성이 큽니다.

샘씨엔에스는 기존 NAND 시장 외에 DRAM 분야로의 본격적인 진출을 통해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DRAM용 Probe Card는 기술 진입 장벽이 매우 높아, 일본과 미국 기업들이 시장을 과점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러나 샘씨엔에스는 JEM(일본), Technoprobe(이탈리아)와의 협력을 통해 DRAM 및 HBM 시장 점유율 확대를 꾀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매출 구조의 질적 향상을 예고합니다.

2024~2025 실적 추이: 고성장 구간 진입

샘씨엔에스는 2024년 매출 533억 원(+72.3% YoY), 영업이익 52억 원(흑자 전환)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DRAM향 매출은 전년 대비 311.3% 증가한 122억 원에 달했으며, DRAM 제품의 매출 비중은 22.8%로 확대되었습니다.

2025년에는 DRAM향 제품 비중이 34.9%까지 상승하며, 총 매출은 696억 원(+30.6% YoY), 영업이익은 142억 원(+173.1% YoY)이 전망됩니다. 수익성도 뚜렷이 개선되어 영업이익률은 전년 대비 10.6%p 증가한 20.4%로 회복될 전망입니다.

이는 고마진인 DRAM향 제품 매출이 증가하고, 오송 신공장 이전에 따른 비용 부담이 줄어들면서 가능한 시나리오입니다.

주가 흐름과 투자자 심리

현재 샘씨엔에스의 주가는 4,770원(2024.4.23 기준)으로, 52주 최고가 8,800원 대비 40% 이상 하락한 상태입니다. 이는 반도체 업황 둔화, NAND 중심 실적 구조에 대한 불확실성 등이 선반영된 결과로 보입니다.

하지만 동사의 2025F PBR은 1.8배 수준으로, 동종업계 평균(1.3배) 대비 낮지 않으며, 세라믹 STF 시장의 진입 장벽과 기술력을 고려할 때 현재 주가는 저평가 국면으로 평가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DRAM 제품 비중이 확대되며 수익성 회복이 가시화될 경우, 투자자 심리는 반등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DRAM과 HBM 진입 본격화, 미래 성장의 핵심 전략은?

샘씨엔에스의 중장기 성장은 DRAM 및 HBM(고대역폭 메모리) 시장 침투에 달려 있습니다. 기존 NAND 중심 구조에서 벗어나 DRAM용 세라믹 STF 공급을 확대함으로써 수익성과 기술력 양면에서 레벨업을 시도하고 있는 것입니다.

2025년에는 글로벌 Probe Card 2위 업체인 Technoprobe(이탈리아)를 통한 DRAM 제품 공급이 본격화될 전망입니다. Technoprobe는 비메모리 중심에서 메모리 영역으로 확장을 꾀하고 있으며, 샘씨엔에스와의 협업을 통해 HBM 테스트용 Vertical MEMS Probe Card에 필요한 세라믹 STF를 공급받고 있습니다.

특히, Micron의 HBM 생산 CAPA 확대(월 25K → 45K)와 DRAM향 퀄리피케이션 결과 발표(국내는 상반기, 해외는 하반기 예정)는 샘씨엔에스의 DRAM향 매출 확대에 기폭제가 될 전망입니다. DRAM의 미세화와 고핀화 트렌드는 LTCC 기반 고정밀 STF의 수요를 더욱 자극할 수 있습니다.

시장 구조의 진입 장벽, 샘씨엔에스의 경쟁력은?

세라믹 STF는 다층 구조와 정밀 가공이 필수적인 고기술 제품입니다. 하나의 STF에는 수십층의 세라믹층과 최대 270만 개에 달하는 Via(미세 전도 경로)가 집적되어 있으며, 이는 99.9% 이상의 정렬 신뢰도를 요구합니다. 샘씨엔에스는 LTCC(저온 동시소성) 기술을 활용하여 두께 방향으로만 수축을 유도하고, 고정밀 신호 전달을 실현함으로써 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습니다.

특히 LTCC 방식은 기존 HTCC 대비 납기 단축, 고전도 배선(Ag, Cu) 사용이 가능하여 DRAM 및 HBM처럼 고성능 테스트가 요구되는 제품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국내에서 다층 STF를 양산 가능한 기업은 현재 샘씨엔에스가 유일합니다.

이러한 기술 장벽은 신규 업체 진입을 어렵게 만들며, 글로벌 Probe Card 업체들과의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한 샘씨엔에스에게 구조적 우위를 제공합니다.

NAND 불확실성과 중장기 리스크 요인

단기적으로는 NAND 매출 비중이 높다는 점이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전체 매출의 약 65~75%를 차지하는 NAND향 STF 매출은 업황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2023년에는 NAND 감산과 가동률 하락으로 실적이 크게 둔화되며, 첫 영업적자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2025년 상반기에는 미국의 대중국 관세 우려로 인한 선반영 수요(Pull-in Demand)가 일시적인 수요 증가를 유도할 수 있으나, 하반기에는 실제 소비 수요가 이를 따라가지 못할 경우, 재고 부담과 가격 하락이라는 이중 압박이 다시 나타날 수 있습니다.

DRAM 매출 확대가 예상되지만, NAND 업황이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여전히 무시할 수 없습니다.

저평가 국면에서 기술력 기반의 리레이팅 기대

샘씨엔에스는 현재 2025F 기준 PBR 1.8배, PER 23.3배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이는 기술 장벽이 높은 세라믹 STF 산업의 구조적 매력과 향후 수익성 회복을 감안할 때 저평가된 구간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습니다.

기존 NAND 중심에서 벗어나 DRAM 및 HBM 시장으로의 진출이 본격화되며, 2025년에는 DRAM향 매출 비중이 34.9%까지 상승할 전망입니다. 고마진 사업 구조로의 전환이 실현되며, 영업이익률은 20.4%로 두 자릿수 수익성 회복이 예상됩니다.

단기적으로는 NAND 업황과 관세 변수에 주의가 필요하지만, 기술 기반의 진입 장벽, 글로벌 고객사 확보, HBM 시장 성장 수혜라는 구조적 요인을 감안할 때, 중장기 성장성이 충분히 매력적인 종목으로 평가됩니다.

장기적으로 반도체 테스트 소재의 핵심 공급사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샘씨엔에스. 현 시점은 밸류에이션 매력을 고려할 때, 중장기 관점에서 투자 전략을 세워볼 만한 타이밍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인덱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