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트루다SC 출시에 숨겨진 기회, 알테오젠의 반격이 시작된다

바이오 산업은 언제나 가능성과 실적 사이에서 줄타기를 한다. 그러나 2025년 알테오젠(Alteogen, 196170)의 행보는 그 경계를 뚫고 새로운 국면에 진입하고 있다. 특히 미국 머크(MSD)의 면역항암제 키트루다(Keytruda)의 피하주사(SC) 제형 출시와 관련한 독점 기술 제공 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알테오젠의 주가와 실적, 그리고 성장 잠재력을 다시 들여다볼 시점이다.

키트루다SC란 무엇인가?

키트루다는 이미 전 세계 항암제 시장의 절대강자로 자리 잡은 면역항암제다. 기존 정맥주사(IV) 제형은 투약 시간과 병원 자원을 많이 소모하지만, 알테오젠의 히알루로니다제 기술(ALT-B4)이 적용된 SC 제형은 투약 시간이 대폭 줄어들며, 환자 편의성과 의료 시스템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한다.

치료 효율성과 안전성까지 입증

2025년 유럽폐암학회(ELCC)에서 발표된 임상 3상 결과에 따르면 키트루다SC는 IV 제형 대비 비열등성을 확실히 입증했다.

  • ORR(객관적 반응률)은 SC가 45.4%, IV가 42.1%

  • 무진행 생존기간(mPFS)은 SC 8.1개월, IV 7.8개월

  • 치료 관련 부작용 발생률은 양 제형 모두 비슷

더 나아가 SC 제형은 환자 1명당 약 2시간 이상의 치료 시간을 단축시키며, 의료비용 절감 효과도 막대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은 아직 반영하지 않았다

알테오젠은 MSD와 키트루다SC 독점 계약을 체결했으며, 2025년 9월 23일 FDA 승인 이후 10월 1일 초고속 출시가 예정되어 있다. 계약 규모는 5조 5,700억원, 선급금만 460억원에 달하며, 총 1.57조원 규모의 마일스톤 수령이 가능하다.

그러나 현재 알테오젠의 주가는 다이이찌 산쿄와의 계약 발표 당시보다 낮은 수준에서 머물고 있다. 이는 키트루다SC 뿐 아니라 아스트라제네카, 사노피, 산도즈 등 다수의 글로벌 제약사와의 계약을 감안할 때 지나치게 저평가된 것이다.

2026년 이후 실적 폭발적 성장 전망

알테오젠의 2023년 매출은 965억원에 불과했지만, 2026년에는 5,932억원, 2027년에는 7,848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영업이익률은 2026년 75%, 2027년 77.1%로 고수익 구조가 확립될 전망이다.

  • 2024년 예상 순이익: 623억원

  • 2026년 예상 순이익: 5,660억원

  • ROE(자기자본이익률): 2026년 97.3%, 2027년 63.5%

이는 글로벌 제약사들과의 기술이전 및 마일스톤 수령에 기반한 실적 개선이 반영된 수치로, 단순한 기술 테마주를 넘어 실적 기반의 기업으로의 도약을 의미한다.

기업가치 재평가 국면 진입

2025년 3월 기준 시가총액은 약 18조 7,949억원, 목표주가는 73만원으로 현 주가(35만 2,500원) 대비 107.1%의 상승 여력을 지니고 있다. PER는 2027년 기준 23.5배로, 성장성을 고려하면 부담 없는 수준이다. 특히 공매도 재개 우려에 따른 주가 하락이 단기적인 이슈로 작용하고 있어, 저점 매수 전략이 유효해 보인다.

현금흐름도 긍정적 전환

  • 2023년에는 영업현금흐름이 마이너스였지만

  • 2024년부터는 안정적인 플러스로 전환

  • 2026년과 2027년에는 각각 5,737억원, 7,996억원의 현금창출 능력 확보

이는 마일스톤 수령과 기술이전 수익이 본격 반영되며 재무 건전성 역시 급격히 개선될 것임을 시사한다.

글로벌 제약사들과의 탄탄한 파트너십

알테오젠은 MSD 외에도 인도 인타스, 일본 다이이찌 산쿄, 스위스 산도즈, 영국 아스트라제네카와도 ALT-B4 기반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이 중 일부는 이미 임상단계에 돌입했거나, 상업화를 앞두고 있어 추가적인 마일스톤 수령과 로열티 수익이 기대된다.

이제는 기다릴 시간이 아니다

알테오젠은 단순히 기대감으로 움직이는 기업이 아니다. 실적의 가시성이 뚜렷해졌고,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은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파이프라인과 다수의 굵직한 계약은 이를 증명한다. 특히 키트루다SC의 본격 출시를 앞두고, 시장은 아직 그 진가를 온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는 성장의 전환점. 저평가된 주가는 장기적인 투자 기회를 의미하며, 알테오젠은 향후 바이오 산업을 이끌 핵심 종목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크다.

지금이야말로 알테오젠을 다시 주목할 시점이다.

Leave a Comment

인덱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