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톡스, 저점은 지났다…이제는 턴어라운드의 시작점

미용 의료 시장의 대표 주자 중 하나인 메디톡스(086900)가 반등의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 오랜 기간 시장의 불확실성과 경쟁 심화 속에서 주춤했던 메디톡스는 2025년 1분기를 기점으로 뚜렷한 실적 반등을 예고하며 새로운 도약을 준비 중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메디톡스의 현재 상황, 성장 동력, 그리고 투자 매력도를 심층 분석해 본다.

실적 반등의 신호탄, 1분기 실적 전망

2025년 1분기, 메디톡스는 매출액 555억원(YoY +1.7%)과 영업이익 37억원(OPM 6.7%)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전년 대비 소폭 증가이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턴어라운드의 본격적인 시작점이라는 데 있다.

이번 실적 반등은 단순한 계절성 회복이 아닌, 수출 회복과 내수 확대가 맞물린 구조적 반등으로 풀이된다. 특히 수출 측면에서는 브라질과 태국, 페루 시장 확대, 그리고 기존 이연 물량 반영 등이 성장의 핵심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브라질, 메디톡스의 ‘황금시장’ 부상

브라질은 현재 메디톡스의 최대 수출국으로, 톡신 시장 점유율 약 30~40%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브라질 내 의료관광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메디톡스에 절대적인 기회가 되고 있다.

  • 미국과의 관세 부과로 인해 외산 톡신 가격이 상승하면서, 가격 경쟁력을 갖춘 메디톡스 제품의 선호도가 높아짐.

  • 브라질 내 파트너사 ‘볼라움’의 유통망 확장에 따라 선적량 증가 예상.

  • 치료용 톡신 시장까지도 공략 가능한 구조로, TAM(Total Addressable Market) 확대가 기대된다.

브라질 외에도 태국, 페루 등 신규 시장 진출을 통해 글로벌 커버리지를 넓혀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출 증가와 공급 안정성이 동시에 개선되고 있다.

수출 전용 공장 가동률 회복, 공급 병목 해소

2024년 수출용 1공장은 100%에 달하는 높은 가동률로 인해 공급 부족에 시달렸다. 그러나 2025년부터는 신규 3공장 가동태국·페루 수출 물량 분산으로 기존 1공장의 유휴 생산능력이 회복될 전망이다. 이는 공급 측 병목 현상을 해소하고, 매출 안정성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신규 제품인 ‘뉴럭스’(Newlux)는 기존 톡신 대비 약 10% 높은 판가로 공급되고 있어, 수익성 개선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내수 시장, 인바운드 수요 회복에 주목

국내에서는 중국, 일본인 중심의 의료 관광 수요가 폭증하면서 피부과 및 미용 시술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2024년 외국인 환자 수는 전년 대비 209% 증가했으며, 피부과 방문 비중은 전체의 60%에 달한다.

메디톡스는 국내 유일의 저내성 톡신 제품 ‘코어톡스’를 중심으로 외국인 환자 니즈를 충족시키고 있으며, 가격 경쟁력 또한 확보된 상태다. 연초에는 가격 인상도 일부 반영되며 수익성 개선이 예상된다.

실적과 비용 구조 개선의 동시 진행

2024년까지 연간 약 200억원에 달했던 ITC 소송 비용은 본심 종료로 인해 향후 분기별 15억원 수준으로 축소될 전망이다. 또한 자회사 ‘리비옴’의 연결 편입으로 임상 비용은 증가하나, 3공장 가동으로 인한 영업 레버리지 효과가 이를 상쇄할 수 있다.

매출 성장과 비용 절감이라는 양면 효과가 동시에 작용하는 구조는 투자자 입장에서 매우 긍정적인 시그널이다.

기업 가치와 주가 전망

메디톡스의 2025년 예상 순이익은 355억원이며, 목표주가는 190,000원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는 현재 주가(4월 2일 기준 140,900원) 대비 약 35%의 상승 여력을 의미한다.

  • 2025년 예상 PER: 28.9배

  • 2027년 예상 ROE: 14.4%

  • 2027년 영업이익률(OPM): 29.9%

  • 2025년 EPS(주당순이익): 4,875원

전반적인 밸류에이션 지표와 수익성 지표 모두 턴어라운드 국면 진입을 강하게 시사하고 있다.

마무리: 지금은 저점, 기회는 돌아왔다

메디톡스는 한때 국내 톡신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던 선도 기업이다. 식약처 이슈와 경쟁 심화로 인해 다소 주춤했지만, 이제는 글로벌 커버리지를 바탕으로 확실한 반등의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

수출 확대, 내수 회복, 비용 구조 개선이라는 3박자가 맞물리며, 메디톡스는 2025년을 기점으로 실적과 주가 모두에서 의미 있는 전환점을 맞이할 가능성이 크다.

지금이야말로, 메디톡스를 주목해야 할 때다.

Leave a Comment

인덱스